전자파 적합성(KC EMC)
전파법 제58조의2 근거 · 적합성평가 유형 · 시험/문서/표시
KC EMC란?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 — 전자파 방출/내성 요구 충족
국립전파연구원(RRA)은 전파법 제58조의2에 따라 방송통신기자재등에 대한 적합성평가 제도를 운영합니다. 장비는 전자기 방출을 제한하고 정상 성능을 위한 내성을 확보해야 하며, 평가 유형에 따라 시험·문서·표시 요구가 부여됩니다.
법적 근거 및 제도 소개는 RRA 공식 안내를 참조합니다.
적합성평가 유형
적합인증 · 적합등록 · 자기적합확인 · 잠정인증
유형 | 개요 |
---|---|
적합인증 | 지정기관(TCB 유사 역할) 심사·시험 서류에 따라 인증서 발급. 고위험·무선 포함 일부 장비 대상 |
적합등록 | 시험성적서 등 기술자료로 등록하여 시장에 공급. IT/멀티미디어 등 다수 장비 적용 |
자기적합확인 | 제조자/수입자가 기술자료를 보유·보관하고 자체 확인으로 시장 공급(해당 품목 한정) |
잠정인증 | 국내 기술기준 미존재 등 특수 사유 시 한시적 인증으로 유통 허용 |
세부 대상은 고시/공고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최신 분류·기준은 RRA 고시 및 공고를 확인하세요.
시험 기준과 방법(요약)
전자파적합성 기준 · 시험방법 고시 최신본 확인
KC EMC는 국제표준(CISPR/IEC)과 정합되는 국내 기술기준을 기반으로, 제품의 방출(Emission)과 내성(Immunity)을 평가합니다. 제품군·설치환경·포트 구성에 따라 요구 항목과 한도/레벨이 정해집니다.
분류 | 대표 시험 항목(예) |
---|---|
방출(EMI) |
● 유도성 방출(전원선 전도: 150 kHz–30 MHz) ● 방사성 방출(Enclosure: 30 MHz–1 GHz, 필요 시 1 GHz 이상) ● 고조파 전류(IEC 61000‑3‑2 계열 적용 제품) ● 전압 변동/플리커(IEC 61000‑3‑3 계열 적용 제품) |
내성(EMS) |
● 정전기 방전(ESD, IEC 61000‑4‑2) ● 방사 전자파 내성(IEC 61000‑4‑3) ● 전기적 고속펄스(EFT/Burst, IEC 61000‑4‑4) ● 서지(Surge, IEC 61000‑4‑5) ● 전도 RF 내성(IEC 61000‑4‑6) ● 전원 주파 자기장(IEC 61000‑4‑8) ● 전압 강하·순단·변동(IEC 61000‑4‑11) |
구체 시험 대역/레벨, 성능기준(A/B/C)은 제품 용도·설치환경에 따라 달라지며, 최신 국내 기술기준·시험방법 고시에 따릅니다.
설치환경과 Class
가정·상업(민수) vs 산업 환경 — Class B / Class A
- Class B — 가정/사무/상업과 같이 민수 환경. 더 엄격한 방출 한도 적용.
- Class A — 산업 환경(공장/전용 설비 등). Class B 대비 한도가 완화될 수 있음.
제품의 주 사용 환경에 따라 적용 한도·내성 레벨이 정해지므로, 설계 초기 단계에서 목표 Class를 확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트 정의와 케이블 구성
AC/DC 전원·신호·텔레콤·I/O 포트 — Worst‑case 설정
- 전원 포트 — AC/DC 전원, 어댑터/배터리 포함. 길이·접지·필터 구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짐.
- 신호/통신 포트 — USB, Ethernet, UART, RS‑485 등. 차폐/비차폐, 케이블 길이/배선 방식 고려.
- 외함(Enclosure) — 방사성 방출/내성의 주요 경로. 개구·재질·쉴딩 구조가 영향.
시험 시에는 실제 사용 조건을 반영한 Worst‑case 케이블/로드 구성이 필요합니다.
표시(라벨)·문서 요건
KC 마크 + 인증/등록번호 · e‑Label/QR(허용 시) · 사용자 정보
항목 | 요구사항 |
---|---|
KC 표기 | KC 로고와 인증/등록번호 표시. 전자라벨 또는 QR 코드 라벨이 허용되는 품목은 관련 고지에 따릅니다. |
추적성 | 제조자/수입자 명칭·주소, 모델명·정격 등 식별정보 표기 |
사용자 안내 | 사용상 주의·설치 조건 등 필수 고지 문구를 한글로 제공 |
무선 기능이 있는 장비는 해당 무선 규격(송신 대역/출력 등) 요구와 함께 EMC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절차(요약)
분류 → 시험 → 문서화/등록 → 표시
- 대상 품목·평가 유형 판정(고시 분류표/예외 확인)
- 시험항목 확정(방출/내성, 포트/케이블 구성 반영) 및 시험 수행
- 적합인증/등록/자기적합확인에 맞는 기술문서 정리
- KC 마크 및 번호 표기(전자/QR 라벨 허용 시 해당 규정 준수)
- 출시 후 변경관리 — HW 부품 대체, RF 모듈/안테나 변경, 외함/케이블 변경 등은 영향평가 및 필요 시 재시험·변경신고
실무 체크리스트
출시 전 핵심 점검
- 사용 환경(Class A/B)과 무선 기능 유무를 먼저 확정
- 전원/신호 포트별 케이블·로드 구성을 Worst‑case로 정의
- ESD/Surge 등 내성 레벨이 설계 마진 내에 들어오는지(부품 내량, 접지/차폐) 사전 검토
- 라벨(e‑Label/QR 포함) 시안, 사용자 고지 문구, 한글 매뉴얼 준비
- 기술문서: 회로도·BoM·사진·블록도·시험계획/성적서·사용자문서·라벨 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