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에너지기자재
품목군 · 성능요건 · 시험방법 · 표시 · 조달/인센티브 연계
무엇을 규정하나?
성능·효율 요건을 충족한 기자재에 인증·표시 부여 — 공공조달·인센티브 연계(해당 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은 품목별로 정해진 성능·효율 요건을 충족하는 제품에 대해 인증마크 사용을 허용하고, 공공조달/요금 혜택/보조금 등 정책 인센티브와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품목·요건·시험방법·표시 기준은 기준서로 공지되며, 개정 시 최신본을 적용해야 합니다.
적용 범위(예)
조명·변압기·모터/펌프·보일러/히트펌프·전력변환장치 등
대표적으로 조명(LED 등), 변압기, 전동기/펌프, 보일러/히트펌프, 공조·냉동기기, 전력변환장치(인버터/UPS 등), 에너지관리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실제 대상은 품목고시를 통해 정의·갱신됩니다.
성능·효율 요건
품목별 지표(효율·역률·광효율·성능계수 등)와 최소 기준 충족
지표(예) | 설명 |
---|---|
효율/성능계수 | 전기-역학/열/광 변환장치의 효율 또는 COP/EER/SEER/SCOP 등 성능지표가 기준 이상 |
역률/전력품질 | 역률 개선 및 고조파 한도 등 전력품질 요구 충족 |
광효율/연색성/수명 | 조명기기의 광효율(lm/W), 연색성(Ra), 수명, 광속유지율 등 최소 요건 |
기능·신뢰성 | 온도/습도/부하변동 등 조건에서의 성능 유지, 안전·EMC·환경 유해물질 요건과 연계 |
정확한 수치 기준과 예외는 반드시 품목별 기준서 최신본을 확인해 적용합니다.
시험방법·설정
KS/ISO/IEC 등 표준 준용 — 환경·부하·설정 조건을 문서화
- 환경: 전원전압/주파수, 실온/습도, 설치조건 등 기준서 정의 값 유지
- 부하: 정격/부분부하, 시험 포인트(EER/SEER 등 산정에 필요한 점) 선정
- 설정: 운전모드/제어알고리즘/펌웨어 버전 기록, 반복성·재현성 확보
- 장비: 정확도 등급을 만족하는 계측기 사용 및 교정 상태 유지
인증 절차(요약)
품목·기준 확인 → 시험 → 서류 심사 → 인증·표시
- 대상 품목·기준서 확인, 모델/변형군 정의
- 공인 시험방법으로 성능·효율 시험 및 성적서 확보
- 서류 심사(성적서·라벨 시안·기술자료)
- 인증마크 사용 승인 및 표시(제품/포장/카탈로그/웹)
표시·라벨 요건
인증마크·모델·제조자/수입자 · 성능지표·등급(해당 시) 명확 표기
항목 | 요구사항 |
---|---|
마크·번호 | 고효율 인증마크와 인증번호(해당 시) 표기 |
제품 식별 | 모델명/형식, 정격, 제조자·수입자 |
핵심 지표 | 효율·성능지표(EER/SEER/COP 등), 시험조건 요약(해당 시) |
매체별 반영 | 제품, 포장, 카탈로그, 웹/광고 등 모든 매체에 일관된 정보 제공 |
조달·인센티브 연계
공공조달/요금 할인/보조금 등 정책과의 연결(해당 시)
고효율 인증 제품은 조달청, 공공기관 구매, 지방자치단체 사업 등과 연계될 수 있으며, 전력요금 할인·보조금 등 인센티브가 프로그램별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 여부·요건은 해당 정책 공지와 예산에 따릅니다.
사후관리·유지관리
표본 시험·모니터링 대응 · 성능 유지·변경관리
- 표본 시험: 시장 품질점검/표본 시험에 대응
- 성능 유지: 부품/펌웨어 변경 시 효율·성능 영향 평가
- 문서 관리: 시험성적서·라벨·광고/웹 문구의 일관성 유지
실무 체크리스트
신청 전 핵심 점검
- 품목·모델·변형군 정의(용량/정격/구성 차이 포함)
- 기준서 성능·효율 수치와 시험조건을 사전 검토
- 계측기 정확도/교정 상태 확인, 시험 반복성 확보
- 라벨·카탈로그·웹 정보의 수치/문구 일치
- 조달/인센티브 연계 계획(해당 시) 및 증빙 문서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