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전력 저감 프로그램
대상 품목 · 목표치(Off/Standby/Network) · 측정방법 · 표시/보고
무엇을 규정하나?
에너지이용합리화 관련 법·고시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 체계
대기전력 저감 프로그램은 전기·전자제품이 사용하지 않는 상태(Off, Standby, Network Standby 등)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해, 대상 품목, 목표치(W 단위 한도), 측정방법, 표시·홍보 기준을 정합니다. 프로그램 운영은 일반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 체계에 따라 이루어지며, 품목별 세부 기준은 고시·기준서로 공지됩니다.
용어·모드 정의
Off / Standby / Network Standby
모드 | 개념 |
---|---|
Off | 제품이 꺼져 있고 기본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 잔류 소비전력은 전원회로·감시회로 등 최소한으로 한정 |
Standby | 기본 기능은 정지되었으나 원격 켜짐·클록 유지 등 최소 기능을 위해 전력을 소비하는 상태 |
Network Standby |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원격 웨이크·업데이트 확인 등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위해 전력을 소비 |
세부 정의·측정 조건은 품목별 기준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상 품목·목표치
품목별로 목표치(W)와 예외·유예 조항이 공지
대상 품목은 TV/모니터, 셋톱박스, 프린터/복합기, 냉·난방 제어장치, 네트워크 장비 등 가정·사무용 전기전자제품 전반을 포괄할 수 있으며, 각 품목별로 대기전력 목표치(상한)가 제시됩니다. 고시 개정 시 목표치·측정 조건·예외가 업데이트되므로 최신본을 적용해야 합니다.
측정방법·시험 조건
안정화 시간·측정장비 정확도·환경 조건을 규정
- 안정화: 모드 전환 후 지정 시간 동안 전력값이 안정화된 구간을 사용
- 측정장비: 정해진 정확도 등급을 충족하는 파워 애널라이저/와트미터 사용
- 환경: 전원전압·주파수·온도·습도 등 시험 환경을 기준서에 맞춤
- 네트워크 조건: Network Standby의 경우 네트워크 유형/트래픽/연결 정책을 기준서에 따라 설정
- 부가기능: 타이머/표시등/센서 등 부가기능의 활성·비활성 조건을 문서화
표시·홍보·보고
소비자에게 대기전력 정보를 명확히 제공
항목 | 요구사항 |
---|---|
라벨/표시 | 제품 또는 포장·설명서·온라인 제품 페이지에 대기전력 관련 정보를 표시(형식·문구는 품목별 기준서 준수) |
광고/홍보 | 웹/카탈로그/포스터 등 소비자 접점에서 대기전력 정보를 사실대로 제공 |
보고/등록 | 해당 시 시험성적서·라벨 정보 등을 등록/보고. 사후 모니터링에 대비해 자료를 보관 |
절차(요약)
품목 확인 → 목표치/측정조건 적용 → 시험 → 표시/보고
- 대상 품목과 적용되는 목표치/예외 확인
- 측정방법·환경·네트워크 조건을 기준서에 맞춰 정의
- 인증된 장비로 시험 수행, 성적서·사진·설정값 기록
- 표시/홍보/보고 요건 반영 → 라벨·온라인/포장 정보 정합
사후관리·변경관리
표본 시험·모니터링 대응 · 펌웨어/설정 변경 영향 평가
- 표본 시험: 시장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표본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음
- 변경관리: 펌웨어 업데이트·네트워크 기능 변경 등은 대기전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영향평가 실시
- 문서 보관: 시험성적서·설정·버전 이력 등 자료를 보관하여 재현 가능성을 확보
실무 체크리스트
출시 전 핵심 점검
- 대상 품목·버전·모델군 정의(네트워크 유무·무선 모듈·타이머 기능 포함)
- 목표치/예외 조항 확인, 측정조건(전원/온도/네트워크/안정화) 문서화
- 시험성적서·라벨 시안·온라인 제품 페이지 문구 정합성 점검
- 사후관리 대응 계획: 표본 시험·모니터링 대응 프로세스 마련